사건번호 없이 진행 상황을 모르면 나의 권리가 침해될 수 있습니다.
적시 대응을 못 해 불리한 판결을 받을 수도 있죠.
정확한 번호 조회는 내 권리를 지키는 가장 첫 단계입니다.
아래에서 간편하게 확인하세요!
1. 사건번호란 무엇인가요?
사건번호는 ‘내 사건의 주소’와 같습니다.
경찰, 검찰, 법원 등 단계별로 다르게 부여되어 사건을 체계적으로
관리합니다.
당신의 권리와 진실을 지키기 위한 첫 번째 열쇠입니다.
아래에서 간편하게 확인하세요!
2. 사건번호의 종류와 구조
- 경찰 접수번호 및 사건번호: 사건이 접수되고 정식 수사 착수 시 부여.
- 검찰 송치번호 및 사건번호: 경찰 수사 후 검찰로 이첩되면 새 번호가 배정됨.
- 법원 사건번호: 사건이 재판에 넘겨지면 법원 고유 번호 부여.
예: “2025가단1234” (‘가단’ = 1심 민사 단독사건),
“2025고단1234” (‘고단’ = 1심 형사 단독사건),
“2025노1234” (항소심 사건), “2025도1234” (대법원 사건) 등
3. 경찰 사건번호 조회 방법
- 형사사법포털(KICS) 접속
- ‘사건조회 → 경찰 사건조회’ 메뉴 선택
- 로그인 및 본인 인증 필요
- 접수번호나 사건번호로 조회 가능
- 담당 수사관에게 번호 문의하거나 경찰서 민원실 연락
나만의 사건을 정확히 아는 것이, 불확실한 불안을 덜어줍니다.
4. 검찰 사건번호 조회 방법
- 형사사법포털 내 ‘검찰 사건조회’ 메뉴 이용
- 관할 검찰청, 사건번호, 피고인 이름 입력
- 검찰청 콜센터(1301) 문의 가능
- 송치 후 문자로 번호 안내받기도 함
5. 법원 사건번호 조회 방법
- 대한민국 법원 홈페이지 접속
- 정보 → 사건검색 → ‘나의 사건검색’ 메뉴 선택
- 관할 법원, 사건번호, 당사자명 입력 후 조회
- 사건번호에 붙는 ‘가단, 고단, 고합, 노, 도’ 구분 이해하기
아래에서 간편하게 확인하세요!
6. 대법원 사건번호 확인
- 대법원 사건번호는 ‘도’ 접두사로 시작
- 대법원 홈페이지 혹은 법원 사이트에서 동일하게 조회 가능
- 상고심·재항고심 사건 대상
7. 조회 시 유의할 점
- 번호 한 자리라도 틀리면 조회 불가
- 본인 사건 외 조회 제한 (개인정보 보호)
- 번호 모를 땐 담당 수사관, 검찰, 법원 민원실 문의
- 사건 번호는 내 사건 상황 파악과 법적 대응의 기본
누구나 법적 문제가 생길 수 있고, 그 첫걸음이 사건번호 조회입니다.
길을 잃은 것 같아도, 정보의 바다에서 차근차근 따라가면 꼭 필요한 정보를 얻을
수 있습니다.
오늘 안내드린 내용을 토대로, 당당하게 나의 사건을 확인하고 내 권리를 지키는
용기를 가졌으면 합니다.